본문 바로가기

패스트캠퍼스/50일의 기적 AI 환급반

패스트캠퍼스 환급챌린지 8일차 : 대규모 채팅 플랫폼으로 한 번에 끝내는 실전 대용량 트래픽 커버 완전판 강의 후기

본 포스팅은 패스트캠퍼스 환급 챌린지 참여를 위해 작성하였습니다.

https://fastcampus.info/4n8ztzq

 

 

안녕하세요 :)

오늘은 "50일의 기적 AI 환급반_ 대규모 채팅 플랫폼으로 한 번에 끝내는 실전 대용량 트래픽 커버 완전판 " 챌린지에 도전하는 여덟번째 날입니다.

 

일곱번째 날에는 IntelliJ 에서 자주 사용하는 기능 소개와 플러그인에 대해 배웠었는데요. 오늘은 과연 어떤 내용들을 배울 수 있을지 공부하고 포스팅 하도록 하겠습니다.

 

 

오늘 학습할 내용의 제목은,

Part 2. 채팅 뼈대 프로젝트 개발 > Ch 1. 테스트에 대한 이야기 >

01. 단위 테스트와 통합 테스트의 차이

입니다.


🧪 단위 테스트 vs 통합 테스트

  • 개발을 하다 보면 "이 기능이 제대로 동작하는가?"를 검증하는 일이 반복됩니다. 이때 가장 자주 사용되는 테스트가 바로 단위 테스트(Unit Test)통합 테스트(Integration Test) 입니다. 이름은 익숙하지만, 두 개념을 정확히 구분하고 의도에 맞게 활용하는 것은 생각보다 어렵습니다. 이번 포스팅에서는 두 테스트의 핵심 차이와 실무에서의 활용 방식을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.

 

✅ 단위 테스트란 무엇인가?

  • 단위 테스트는 말 그대로 하나의 클래스나 메서드가 우리가 기대한 대로 동작하는지 검증하는 테스트임. 이 테스트의 핵심은 작은 범위, 빠른 속도, 높은 반복성임.
    • 테스트 대상 외의 의존 객체는 보통 테스트 더블(Test Double) 로 대체하여 외부 요인을 제거함.
    • 테스트는 로컬 메모리에서 독립적으로 실행되며, 네트워크나 파일 접근 없이도 빠르게 수행됨.
    • 실무에서는 보통 CI 파이프라인에 포함되어 PR을 만들면 자동으로 테스트가 실행되고, 결과가 표시됨.
    • 실패 시 디버깅도 간단하며, 개발 중 자주 실행할 수 있어 개발 피드백 루프를 단축시켜 줌.
  • 이번 프로젝트에서는 Spock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단위 테스트를 구성하며, 테스트가 빌드 과정에 자연스럽게 통합되도록 설계할 예정임.

 

🔁 통합 테스트는 왜 필요한가?

  • 반면 통합 테스트는 단위 테스트에서 검증하지 못한 시스템 간 연동을 확인함. 즉, 여러 모듈이 실제로 연동되었을 때 전체 동작이 기대대로 작동하는지를 확인하는 것.
    • 통합 테스트라고 해서 전체 시스템을 검증하는 건 아님. 여전히 테스트 대상은 하나지만, 그 객체가 의존하는 외부 서비스는 실제 구현체와 연결됨.
    • 우리는 이 연동을 위해 도커(Docker) 컨테이너를 활용하여 데이터베이스, 외부 API 등 의존 환경을 격리된 테스트 환경으로 구성.
    • 이런 테스트는 느리고 무겁지만, 실제 운영 환경과 유사한 조건을 갖추므로 시스템 전체의 신뢰성 확보에 중요함.

 

처음에는 단위 테스트와 통합 테스트의 차이를 개념적으로만 알고 있었지만, 이번 클립을 통해 두 테스트의 목적과 한계에 대해서 자세히 알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. 결국 단위 테스트는 나 자신을 위한 피드백 도구이고, 통합 테스트는 팀과 사용자 모두를 위한 신뢰 도구라는 점이 가장 인상 깊었습니다. 두 테스트를 구분하지 않고 ‘테스트를 돌려보긴 했다’는 수준에서 끝내면, 결국 유지보수나 협업에서 비용이 증가하게 된다는 것도 알 수 있었고, 이번 프로젝트에서는 이 두 테스트를 구분하고 목적에 맞게 설계하여, 안정성과 생산성을 모두 챙기는 개발자 경험을 만들고자 합니다.

▲이번 클립 시간이 짧아서 그런지, 학습통계 > 가장 많이 시청한 클립 TOP 5 리스트 안에 보이지 않음.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