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패스트캠퍼스/50일의 기적 AI 환급반

패스트캠퍼스 환급챌린지 11일차 : 대규모 채팅 플랫폼으로 한 번에 끝내는 실전 대용량 트래픽 커버 완전판 강의 후기

본 포스팅은 패스트캠퍼스 환급 챌린지 참여를 위해 작성하였습니다.

https://fastcampus.info/4n8ztzq

 

 

안녕하세요 :)

오늘은 "50일의 기적 AI 환급반_ 대규모 채팅 플랫폼으로 한 번에 끝내는 실전 대용량 트래픽 커버 완전판 " 챌린지에 도전하는 열한번째 날입니다.

 

열번째 날에는 Spock 사용을 위한 Groovy에 대해 배웠었는데요. 오늘은 과연 어떤 내용들을 배울 수 있을지 공부하고 포스팅 하도록 하겠습니다.

 

 

오늘 학습할 내용의 제목은,

Part 2. 채팅 뼈대 프로젝트 개발 > Ch 1. 테스트에 대한 이야기 >

04. Groovy Console 소개

입니다.


1. Groovy Console이란?

  • Groovy Console은 Groovy 스크립트를 테스트하거나 실험해볼 수 있는 도구입니다. IntelliJ에서는 추가 설정 없이 Tools > Groovy Console 메뉴를 통해 바로 실행할 수 있으며, 새로운 Groovy 콘솔 창이 열리면서 .groovy 확장자의 임시 파일이 생성됩니다. 이 콘솔을 통해 간단한 코드를 작성하고, Command + Enter 또는 상단 실행 버튼으로 바로 실행이 가능합니다.
  • 하지만 콘솔 실행 시 Groovy 라이브러리 의존성이 프로젝트에 없다면, IntelliJ는 기본 번들 라이브러리(Groovy 2.x 버전)를 사용합니다. 이 경우 최신 기능을 모두 사용할 수는 없기 때문에, 명시적으로 라이브러리를 추가하는 것이 좋습니다.

 

2. 프로젝트 설정과 콘솔 연동

  • IntelliJ에서 자바 프로젝트를 생성하고, Gradle 설정에서 Groovy 의존성을 추가합니다.
  • Groovy 플러그인을 추가하면 compileGroovy, groovydoc 등의 Gradle 태스크도 자동으로 생성됩니다. 이후 콘솔을 실행하면, Groovy 4.0.24 버전이 적용되며, 최신 문법(예: Java의 Record 타입 활용 등)도 정상적으로 지원됩니다.
  • 콘솔에서 GroovySystem.version을 실행하면 현재 사용 중인 버전을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. 예전 번들 버전에서는 record 타입을 사용할 수 없지만, 위와 같이 명시적으로 설정된 경우 record도 문제없이 사용 가능합니다.

 

3. 콘솔의 파일 저장 위치와 클래스 연동

  • 콘솔로 실행된 파일은 IntelliJ 설치 디렉토리 하위의 consoles/groovy 폴더에 저장됩니다. 자동으로 삭제되지는 않기 때문에, 이전 콘솔 내용을 재사용하고 싶다면 해당 파일을 오픈해서 이어서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.
  • 또한, 프로젝트 내 클래스들을 콘솔에서 직접 참조하는 것도 가능합니다. 예를 들어, 자바의 record 클래스를 프로젝트 내에 작성하고 빌드한 뒤, 콘솔에서 import 하여 직접 객체를 생성하고 활용할 수 있습니다.
// Java Record 클래스 (People.java)
record People(String name, int age) {}

 

// Groovy Console에서 사용
People p = new People(name: '개발러버', age: 30)
println(p)
  • 단, 이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해당 자바 클래스가 Gradle 빌드를 통해 .class 파일로 컴파일되어 있어야 합니다.

 

4. 실무 활용 포인트

  • Groovy Console은 반복적인 실험, 로직 테스트, 간단한 데이터 가공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. 매번 테스트 파일을 만들지 않고도 즉석에서 실험해볼 수 있다는 점에서 개발자의 생산성을 매우 높여주는 도구입니다. 특히 Groovy의 간결한 문법과 함께 사용하면, 빠르게 결과를 확인하고 수정하는 데 매우 유리합니다.
  • 또한 프로젝트에서 사용하는 실제 클래스들을 콘솔에서 그대로 불러와서 실험할 수 있기 때문에, 데이터베이스 연결 없이도 로직 검증이 가능하며, 학습용이나 디버깅 용도로도 훌륭한 도구입니다.

 

Groovy Console은 처음엔 단순한 테스트 도구처럼 보일 수 있지만, 실제로 사용해보니 작은 아이디어를 빠르게 실험하고 검증할 수 있는 실용적인 방법이라는 느낌이 들었습니다. 테스트 클래스를 따로 만들지 않고도 자바와 Groovy를 넘나들며 로직을 검토할 수 있다는 점은 특히 좋았고, 스크립트 기반의 민첩함을 경험할 수 있었습니다.

앞으로 Spock 테스트를 본격적으로 사용할 예정인 만큼, Groovy Console은 테스트 설계 초기 단계에서 로직을 점검하거나 빠른 테스트 피드백을 받는 데 유용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. 이번 기회를 통해 잘 배워둔다면 앞으로 개발 속도와 코드 품질을 동시에 잡을 수 있는 좋은 습관이 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.